본문 바로가기

분식집/파이썬

파이썬에서 몫을 계산하는법

a//b ->를 하면 몫이 나와용!

a%b->를 하면 나머지가 나와요

 

a/b=>얘는 그냥 나눗셈

 

 

실수를 원하는 자리에서 반올림 하는법(C랑 똑같음!)

 

a=float(a)로 플롯 형으로 바꿔준 다음

print(format(a, ".2f"))  를 진행하면 소수 둘쨰짜리까지 반올림을 진행해 줍니다!

 

 

=>print(round(a,2))=>요렇게쓰면 a의 소수 두번째까지 출력해줌.

 

 

 

시프트 연산

(컴퓨터의 구조는 2진수로 되어 있기 떄문에)

<<(좌측 시프트 연산)을 할경우 곱하기 2가

>>(우측 시프트 연산)을 할경우 나누기 2가 된다고 생각하면 됨.

 

 

print(n<<1)을 하면 n 을 우측으로 한번 시프트 한 값이

print(n<<6)을 하면 n을 우측으로 6번 시트프 한 값(2^6)이 출력 된다.

 

 

파이썬의 비교 연산자

비교/관계연산자는 <, >, <=, >=, ==(같다), !=(다르다) 6개가 있다.

 

 

 

정수값이면 True를 만들어 내는 프로그램.

=>파이썬에서 정수 값은 0은 False 그외의 정수는 True로 인지함.

print(bool(n))을 이용!

 

불 값도 마찬가지로

a=bool(int(iput()))처럼 사용 가능

불 값은 0,1 밖에 존재한다는건 알꺼고

 

print(not a)위와 같이 출력하면 참 거짓을 뒤집어 출력 가능.

 

 

불 and연산도

a, b = input().split()
print(bool(int(a)) and bool(int(b)))

위와 같은 형태로 진행이 가능함.

 

 

 

 

비트단위 연산을 하는 방법.

 

 

입력 된 정수를 비트단위로 참/거짓을 바꾼 후 정수로 출력해보자.
비트단위(bitwise)연산자 ~ 를 붙이면 된다.(~ : tilde, 틸드라고 읽는다.)

** 비트단위(bitwise) 연산자는,
~(bitwise not), &(bitwise and), |(bitwise or), ^(bitwise xor),
<<(bitwise left shift), >>(bitwise right shift)
가 있다.

예를 들어 1이 입력되었을 때 저장되는 1을 32비트 2진수로 표현하면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1 이고,
~1은 11111111 11111111 11111111 11111110 가 되는데 이는 -2를 의미한다.

 

 

 

3항 연산자

참고
3개의 요소로 이루어지는 3항 연산은
"x if C else y" 의 형태로 작성이 된다.
- C : True 또는 False 를 평가할 조건식(conditional expression) 또는 값
- x : C의 평가 결과가 True 일 때 사용할 값
- y : C의 평가 결과가 True 가 아닐 때 사용할 값
c = (a if (a>=b) else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