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학기 과목(지금 볼거X) (15) 썸네일형 리스트형 6주차-2 ***멀티 스레드 VS 멀티 프로세스 (차이점, 공통점) ***함수의 시작 주소 위치 ..=>문제 무조건 나옴!! *윈도우: 대문자 구분 : linux 언더바 구분 CreateThread()함수 =>앞 강의에서 말한, 윈도우에서 스레드 생성 시 사용. =>스레드 생성 후, 핸들을 리턴하게 됨. (왜? 사용자가 커널을 건드려서 OS를 망치면 커버할 방법이 없자나..) DWORD WINAPI (쓰레드 이름)(LPVOID lpParameter) { NULL, 0, (함수 이름), 포인터 값, 0, null } 1)쓰레드 보안 속성. NULL 찍으세용 2)쓰레드 할당 크기 설정(DEFUALT=1MB) 3)시작주소 ==함수 이름(앞에서 들었죠?) 4)쓰레드 함수에 전달할 인자 값. 5) 0: 쓰레드를 생성하자마자.. 6주 1 169p~ 스레드 기초 멀티스레드가 왜 필요한가 1)다중 처리 문제. =>TCP/IP의 클라이언트가 접근시, 접근 후 새 소켓을 만드는데 필요함. //앞선 파트에서 설명한 다중 클라이언트 연결 방식은 이상적임. 다만, 해당 방식은 TCP의 단일 스레드 구조로는 동작할 수 없음. while(1) { accept(); recv(); send(); }//단일 스레드 클라-서버 구조의 예시 위와 같은 방식으로 프로그래밍시 send()를 받기 전까지 반복문의 분기가 이뤄지지 않음. 다시 말해 서버가listen()상태가 아니라는 것. 따라서 C2가 접근을 해도. accept를 하지 못하고 대기 상태에서 기다리게 됨. 위 문제는 //멀티 프로세스//멀티 스레드//멀티 플렉싱 3가지 방식으로 해결 가능. 2.데드락문제.. 5주 2 (코드작성 142p) 공개 키 암호화의 진행 과정. =>가정: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공인키를 들고 있으며, S와 C는 같은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0)C=>S 접속, 및 공개 키 요청. 1)S=>C 공개키를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함.(공개 키의 크기는 가변.) 2)Client : 난수 생성후, 공개키를 통해 암호화 3)C=>S: 암호화된 난수 전송 (암호화된 난수의 길이는 가변(var) ppt가 잘못됨, 대칭키 암호라 ㅈ~라 김.) 4)Server: 자신의 개인 키로 복호 5)Server/Client: 공유한 난수를 기반으로 KDF(세션키 유도) //(Key Deribation Fuction ) 키 유도 함수 6)S=>C: ACK전송 7)C=>S: 대칭키 암호 알고리즘 이용 데이터 암호화 후 전송. 8).. 4주-2 과제 공지!! =>서버 클라이언트 만드는 것 배우고 중간고사 뒤에 과제 낼 예정. 채팅 프로그램 만들어 보고 간단하게 교수님이랑 만나서 폴드 리뷰 5~10분 정도 할 거에요. 도메인 이름과 변환 함수. DNS:IP 주소 일일이 기억하기 어렵쟈나!, ip주소에 매핑 시킨 형태. hostent 구조체 struct hostent{ char *h_name; char **h_aliases; //포인터 한개랑 두개의 차이? *:배열의 위치 , **:이차원 배열의 위치 short h_addrtype; short h_length; char **h_addr_list; #define h_addr h_addr_list[0] }; gethostbyname =>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변경. input 도메인 이름 outpu.. 3주-2// 디버그 빌드와 릴리즈 빌드의 차이 -디버그 빌드: 개발자 사용(디버깅) : exe파일 안에 실행 코드를 행성 (exe파일 내부에 디버깅 관련 pdd파일의 생성. //pdd파일의 디스 어셈블링으로 코드 파일을 얻을 수 있음 -릴리즈 빌드:디버깅에 필요한 정보 포함X, 대신 디버그 빌드에 비해 속도가 느림. 따라서 상용 코드라면 릴리즈 빌드를 해야함, 디버그 빌드시 소스코드를 뿌리는 것. ..와 의 차이. #include ===>정해진 패스의 헤더들을 include #include“../common.h” ==>정해진 폴더가 아닌 곳의 헤더를 사용할 때, ..사용 (동아리에서 배웠듯, ..는 상대경로가 한칸 위라는 이야기.) 디버깅 하는법 1)F9를 눌러 break point를 만든다. 2)이후 F5를 누르면.. 6주-1 산술 부호(Arithmetic Code) =>정보원 계열 전체를 하나의 부호어로 부호화 -장치화가 비교적 간단. -효율 좋음. -다양한 정보원에 대응됨. -정보원 계열 전체를 하나의 부호어로 부호화 하는 방식. =>특허가 걸려 있어서, 함부로 쓸 수는 없음. (1부터 0까지의 P를 부호가 나올때마다 나누는 방식) 호프만의 사용처 =>MPEG/JPEG등 크기가 너무 커서 압축 효율이 중요할 경우 (이때, 호프만이 아닌 산술 부호화를 사용해도 괜찮다!) 과제!!!!!!!!!!!5/11 금요일 23:59까지. =>E-class 과제로 제출 하시면 됩니다. 내용: 산술부호에 대한 조사 및 정리 =>산술 부호 알고리즘 =>호프만 부호화와 비교해서 작성할 것. 5주차 정보이론 머응보 5주 생신 5주차 노화! 수명 연장의 꿈 =====잡생각.. 암세포+대식 세포의 밸런스를 맞추면 항상 새세포로 불로 불사가 가능하지 않을까? 최근 수명이 연장된 이유. 복지 제도의 증가 의학 기술의 증가 항생제(페니실린)의 발견 백신의 개발 치과 기술의 발달(과거에는 60살이면 잇몸 밖에 없었음.. 이로 인한 쇠약사가 잦았따.) 왜 여자가 남자보다 오래 사는가? 전쟁..?술..?담배..? NO. 1)남성 호르몬 때문. =>남성의 생식 활동이 심장병을 초래 한다는 결과. 내시의 장수. =>남성 호르몬이 나오지 않아서 심장병 위험률 감소. 왕들보다 2~40년정도를 더 살았다는 사료가 있음. =>양상법(운동과 음식으로 건강을 유지함, 나름..그시대의 고위 공무원이니까) 2)생존 전략의 차이 =>남성의 경우 매일 5천~2억개의 .. 4주차 머응보 이전 1 2 다음